|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2 | 3 | 4 | |||
| 5 | 6 | 7 | 8 | 9 | 10 | 11 |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 26 | 27 | 28 | 29 | 30 | 31 |
- ensemble
- Intellij
- 백준
- 정보처리기사필기
- list
- java
- lombok
- 비전공자
- Req
- 정처기
- pandas
- 웹앱
- springboot
- sklearn
- 자바
- APPEND
- SOUP
- javascript
- request
- regressor
- BS
- pds
- 머신러닝
- AWS
- BeautifulSoup
- 자바스크립트
- 정보처리기사
- crawling
- 크롤링
- dataframe
- Today
- Total
No sweet without sweat
[정보처리기사] - 3과목 본문
제가 정리한 자료입니다. 저는 이 정리된 자료로 합격했습니다.!
1. 병렬 데이터베이스 환경 중 수평분할
: 라운드-로빈, 범위 분할, 해시 분할
2. 시스템 카탈로그
1) DBMS가 스스로 생성하고 유지하기에, INSERT, DELETE, UPDATE문으로 시세틈 카탈로그를 갱신하는 것은 허용X
2) 시스템 자신이 필요로 하는 스키마 및 여러 가지 객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시스템 데이터 베이스
3) 시스템 카탈로그에 저장되는 내용을 메타데이터라고도 한다
4)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는 데이터 객체에 대한 정의나 명세에 대한 정보를 유지관리
3. 데이터베이스 설계
1) 개념적 설계
- 사용자의 요구사항 분석 후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추상적인 형태를 설계
- 개념적 모델을 이용한 개념적 스키마 생성(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추상적인 설계도, 개체 관계 다이어그램)
-> 정보를 구조화 하기 위해 추상적 개념으로 표현하는 과정으로 개념 스키마 모델리오가 트랜잭션을 모델링을 병행하고, 요구조건 분석을 통해 DBMS 독립적인 E-R 다이어그램 완성
2) 논리적 설계
- ERD를 이용해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설계, 테이블 구조도, 개념적 설계 단계에서 생성된 ERD를 바탕으로 생성되는 테이블들의 집합
- 자료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도록 특정 DBMS의 논리적 자료 구조로 변환
- 트랜젝션 인터페이스 설계
- 스키마 평가 및 정제
- 목표 DBMS에 맞는 논리스키마 설계
- 논리적 구조의 데이터로 모델화
3) 물리적 설계
- 특정 DBMS가 제공하는 물리적 구조에 따라 테이블 저장 구조 설계
- 필드의 데이터 타입, 인덱스, 테이블 저장 방법 등을 정의
- 저장구조 및 액세스 경로 설정(접근 경로 설계)
- 레코드 집중의 분석, 설계
- 저장 레코드 양식 설계
4. 무결성
1) 개체 무결성 - 릴레이션에서 기본키를 구성하는 속성은 NULL값이나 중복값 X
2) 참조 무결성 - 외래키 값은 NULL이거나 참조 릴레이션의 기본키 값과 동일
3) 도메인 무결성 - 특정 속성의 값이 그 속성이 정의된 도메인이 속한 값이어야 한다.
* 보안의 3요소
1) 기밀성(Confidentiality)
- 공격자가 데이터를 볼 수 없게 보호
2) 무결성(Integrity)
- 변경, 삽입, 삭제, 재연 등으로부터 정보를 보호
3) 가용성(Availability)
5. 병행제어 기법
1) 로킹 기법
2) 타임 스탬프 기법
3) 다중 버전 기법
* 병행제어는 동시에 여러 개의 트랜잭션을 병행수행할 때, DB의 일관성을 파괴하지 않도록 제어
* 틀린답 : 시분할 기법 - 사용자가 여러개의 작업이 동시에 수행하는 것처럼 느끼도록 분할하는 운영체제 운영기법
6. 관계 대수 중 순수 관계 연산자
1) select δ - 수평적 부분집합, 행을 다 가져옴
2) project π- 수직단절, 열을 가 가져옴
3) join ▷◁ - 공통 속성을 이용해 두 개의 릴레이션 튜플을 연결 -> 만들어진 튜플로 반환
4) division ÷ - 릴레션의 모든 튜플과 관련있는 릴레이션의 튜플 반환
7. 관계형 데이터 모델의 릴레이션
1) 모든 속성 값은 원자 값을 갖는다
2) 한 릴레이션에 포함된 튜플은 모두 상이하다(각각의 튜플은 고유한 값을 가진다)
3) 한 릴레이션에 포함된 튜플 사이에는 순서가 없다.
4) 속성(어트리뷰트)의 이름은 유일해야 하지만, 값은 동일할 수도 있다.
5) 속성의 순서는 중요하지 않다.
6) 속성은 더 이상 쪼깰 수 없는 원자값이 들어간다.
8. 릴레이션 R의 차수가 4이고 카디널리티가 5이며, 릴레이션 S의 차수가 6이고 카디널리티가 7일 때, 두 개의 릴레이션을 카티션 프로덕트한 결과의 새로운 릴레이 션의 차수와 카디널리티는 얼마인가?
10,35
* 차수는 +, 카디널리티(튜플)는 *
9. 속성(Attribute)에 대한 설명
1) 속성은 개체의 특성을 기술
2) 속성은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가장 작응ㄴ 논리적 단위
3) 속성은 파일 구조상 데이터 항목 또는 데이터 필드
* 기수 = cardinality = 튜플의 수 = 대응수(관계DB의 행)
* 차수 = Degree = Attribute의 수 = 속성의 수(관계 DB의 열)
10. 개체-관계 모델(E-R)의 그래픽 표현
1) 개체타입 - 사각형
2) 속성 - 원형
3) 관계타입 - 마름모
4) 개체 타입과 속성을 연결 - 선
5) 관계집합 - 삼각형
11. 데이터 속성 간의 종속성에 대한 엄밀한 고려없이 잘못 설계된 데이터베이스에는 데이터 처리 연산 수행 시 각종 이상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이상현상이 아닌 것
-> 검색이상
12. 비정규형
도메인 분해 -> 제1정규형
부분 함수 종속 제거 -> 제2정규형
이행적 함수 종속 제거 -> 제3정규형
결정자가 후보키가 아닌 함수 종속 제거 -> 보이스 코드 정규형(BCNF)
다중치 종속 제거 -> 제4정규형
조인 종속제거 -> 제5정규형
13. 스키마(Schema)
1) 개념 스키마
- 사용자와 데이터베이스 관리자 관점의 스키마 / 데이터베이스에 실제로 어떤 데이터가 저장되었으며, 데이터 간의 관계는 어떻게 되는즐 정의하는 스키마로 전체 관점으로 한 개만 존재하며 접근권한, 보안 및 무결성 등에 관한 정의를 포함
2) 내부 스키마
- 저장 장치와 데이터베이스 설계자 및 개발자 관점의 스키마/ 개념 스키마를 물리적 저장 장치에 구현하는 방법을 정이하는 데 사용하고 물리적 구조 및 내부 레코드의 물리적 순서 등을 표현
3) 외부 스키마
- 사용자 관점의 스키마/사용자 또는 프로그램의 입장에서의 논리적 구조로 여러개가 존재
14. 트랜잭션의 특성( ACID =산성)
1) 원자성 - 트랜재션 내의 모든 명령은 반드시 완벽히 수행되어야 하며, 모두가 완벽히 수행되지 않고 어느 하나라도 오류가 발생한다면 트랜잭션 전부가 취소되어야 한다.
2) 일관성(consistency) - 트랜잭션의 수행 전, 후의 데이터간의 불일치가 생겨선 안된다.
-> 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고정요소는 트랜잭션 수행 전과 트랜잭션 후의 상태가 같아야한다.
3) 격리성(isolation) - 여러 트랜잭션이 동시에 수행되어도,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되어야한다.
4) 영속성(=지속성)(durability) - 성공적으로 수행된 트랜잭션의 결과는 지속성이 있어야한다.
15. 병행제어의 로킹(Locking)
* 로킹 단위
- 병행제어에서 한꺼번에 로킹할 수 있는 객체의 크기
- 데이터베이스, 파일, 레코드, 필드 등은 로킹 단위가 될 수 있다.
- 로킹 단위가 크면 : 병행수준 낮음, 데이터베이스 공유도 저하
- 로킹 단위가 작으면 : 오버헤드 증가, 병행성 수준 높음, 데이터베이스 공유도 증가
16. 뷰(View)에 대한 설명
1) DBA는 보안 측면에서 뷰를 활용할 수 있따
2) 뷰 위에 또 다른 뷰를 정의할 수 있따.
3) 뷰의 단점으로 삽입, 삭제, 갱신 연산에 제약이 따른다
4) 독립적인 인덱스를 가질 수 없다.
5) 뷰 정의를 변경하려면 뷰를 삭제하고 재 생성 해야한다.
17. SQL1) DML(데이터 조작어) - Select/insert/delete/update
2) DDL(데이터 정의어) - CREATE/ALTER/DROP3) DCL(데이터 제어어) - GRANT/REVOKE/COMMIT/ROLLBACK/SAVEPOINT
18. 이상(Anomaly)의 종류 - 삽입이상, 삭제이상, 갱신이상
1) 삽입 이상 - 릴레이션에서 데이터를 삽입할 때 의도와는 상관없는 값들로 함께 삽입
2) 삭제 이상 - 릴레이션에서 한 튜플을 삭제할 때 의도와는 상관없는 값들도 함께 삭제되는 연세 삭제 현상
3) 갱신 이상 - 릴레이션에서 튜플에 있는 속성 값을 갱신할 때 일부 튜플의 정보만 갱신되어 정보에 모순이 생김
19. 관계 데이터 모델에서 릴레이션(relation)에 관한 설명
1) 도메인(domain)은 하나의 속성이 가질 수 있는 타입의 모든 값의 집합으로 각 속성의 도메인은 원자값을 갖는다.
2) 릴레이션 스키마 - 릴레셔느이 논리적인 구조로 정의
20. 데이터 모델링 기법
- 반정규화 : 정규화된 엔티티, 속성, 관계를 시스템의 성능 향상과 개발 운영의 단순화를 위해 중복, 통합, 분리 등을 수행하는 데이터 모델링 기법
- 인덱스정규화 : 인덱스는 키 값으로 행 데이터의 위치를 식별하는데 사용하는 기능
- 집단화 : 속성(유형, Type)들의 세트로 구성되는 새로운 속성을 정의하는데 사용되는 개념
- 머징 : 둘 이상의 데이터 세트를 단일 데이터 세트로 결합 또는 병합
21. 키
- 후보키(Candidate Key) : 릴레이션을 구성하는 속성 중 튜플을 유일하게 식별하기 위한 기본키로 사용할 수 있는 속성들을 뜻한다.
- 슈퍼키(Super Key) ; 한 릴레이션 내에 있는 속성들의 집합으로 구성된 키. 슈퍼키는 릴레이션에 있는 튜플에 대해 유일성을 만족시키지만, 최소성은 만족 시키지 못한다.
- 외래키(Foreign Key) : 관계를 맺고 있는 릴레이션 R1, R2에서 릴레이션 R1이 참조하고 있는 릴레이션 R2의 기본키와 같은 R1릴레이션의 속성
22.

㉠ - UPDATE, ㉡- ON
- grant : 권한허가
- revoke ~on : 권한 회수
23. 관계대수에 대한 설명
1) 주어진 릴레이션 조작을 위한 연산의 집합
2) 일반 집합 연산과 순수 관계 연산으로 구분
3) 질의에 대한 해를 구하기 위해 수행해야 할 연산의 순서를 명시
4)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원하는 정보와 그 정보를 검색하기 위하여 어떻게 유도하는가를 기술하는 절차적인 언어 ( 비절차X -> 관계해석)
5) 릴레이션을 처리하기 위해 연산자와 연산규칙을 제공하는 언어로 피연산자가 릴레이션이고 결과도 릴레이션이다.
6) 대표적으로 순수 관계 연산자와 일반 집합 연산자
24. 데이터 모델에 표시해야 할 요소
* 데이터 모델 개념 : 현실 세계의 정보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도록 추사황하여 표현
* 구성요소
1) 논리적 데이터 구조
2) 연산
3) 제약조건
* 절차 : 개념적>논리적>물리적 데이터 모델
25. 데이터웨어하우스의 기본적인 OLAP(on-line analytical processing) 연산
1) roll-up
2) slicing & dicing
3) drill-up & down
4) pivot
5) drill-through
* 틀린답 : translate
'정보처리기사 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정보처리기사] - 5과목 (0) | 2022.08.25 |
|---|---|
| [정보처리기사] - 4과목 (1) | 2022.08.24 |
| [정보처리기사] - 2과목 : 소프트웨어 개발 (1) | 2022.08.22 |
| 정보처리기사 1과목 (0) | 2022.08.21 |